대학생활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마이크로디그리 VS 졸업 후 방송대 편입
이제 2학년으로 올라가는 학생입니다. 마이크로디그리가 신속한 산업 변화에 따라 각광받는 상황에서 저희 학교 또한 이를 만들었습니다. 개인적으로 메타버스랑 AI/빅데이터 디그리 중 하나를 선택할 예정인데 아무리 봐도 메타버스는 거의 끝물인 것 같아서 AI/빅데이터 디그리를 진행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 부전공도 인정을 잘 받지 못하는 상황이고 현재 다니는 학과가 통계 쪽에서 통계학과보다 적은 것 같아서 방송대에 학사편입을 하고 통계학(법학 복전) 걸어서 다닐 계획도 있습니다. 만약 이 둘 중 하나만 한다면 뭐가 좋다고 생각하시나요? 통계학과 프로그래밍은 배웠지만 아무래도 지금 하면 내용 따라가는 데 조금 어려움이 있을 것 같긴 합니다. 다만, 내용이 전공 강화 중심이기도 하고 과에서도 ai 접목하려는 분위기라 더 배우고 싶긴 합니다. 해당 과목 평가도 널널하고요. 추가로 현재 계열은 사회과학 계열이고 학점은 3. 중반대입니다.
2024.12.26
답변 2
함께 읽은 질문
Q. 이력서 컴퓨터활용능력 사용기간
이력서에 컴퓨터활용능력을 작성하려고하는데, 사용기간을 어떤 기준으로 해야할지 궁금합니다. 워드, 파워포인트는 학생 때부터 많이 사용하는데 기간을 어떻게 잡아야할까요?
Q. 모터설계
안녕하세요 모터설계 직무 희망하는 대학생입니다. 저는 학부 과정에서 ANSYS Maxwell, RMxprt 등의 시뮬레이션 툴을 활용하여 DC 모터와 BLDC 모터를 설계·해석해본 경험이 있습니다. 거창한 프로젝트 수준은 아니고, 파라미터를 조금씩 변형하며 그래프 변화를 관찰·분석한 정도의 경험입니다. 모터 설계 직무를 위해 단순한 시뮬레이션 경험 외에 필요한 역량이 무엇이 있을까요? 학점은 3.25로 높은 편은 아닙니다. 학점을 보완하기 위해 어떤 부분이 필요한지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Q. 생산기술직무로 대기업 점프 가능한가요?
저는 지방대 기계설계공학과이고요 학점은 4점초반입니다 자격증은 산안기랑 위산기 있고 품질관리 인턴1달 했고 캡스톤디자인2번 이렇게 경험이 있습니다 2월부터 현재까지 중견이나 대기업에 품질관리나 생산기술직무로 거의 30개 지원했는데 3개만 서합되고 다 1차 면탈해서 멘탈이 나갈거 같네요 이제 포기해야되나 싶어요 혹시 중소기업에서 생산기술로 시작해서 중고신입이나 경력으로 대기업 갈수 있는 확률이 높을까요? 재가 생각하기에는 생산기술,생산관리,품질관리 중에 생산기술이 가장 유망하다고 생각해서 이 직무를 꼭하고 싶은데 쌓아놓은 경력이 거의 없어서 면접때도 절고 그래요. 멘토님들은 어느 직무가 제일 미래에 유망하다고 생각하시고 점프 가능여부도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정말 답답한 하루네요... 산업군은 자동차쪽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중견 갈수라도 있으면 다른 산업군도 괜찮아요
궁금증이 남았나요?
빠르게 질문하세요.